정보마당 효능ㆍ안전성평가 시스템 구축으로 기능성 소재의 상용화 지원

작성한 글에 대한 제목, 등록일, 작성자, 조회수, 이메일
제목 [공지] 2023년도 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 지원사업 기술지원 수혜기업 모집 2차 공고
작성자 사업단 등록일 2023-03-20
 첨부파일1  효소기반 기술지원 수혜기업 모집 2차 공고(2023년도).pdf
 첨부파일2  [별첨1]2023_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 지원사업 기술지원 수요제안서 서식.hwp
 첨부파일3  [별첨2]우대사항 확인서.hwp

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 지원사업

기술지원 사업 2차 공고

 

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 지원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으로 주관기관인 ()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과 3개 참여기관(()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, ()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,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)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 본 사업은 효능/안전성 평가 지원을 통해 일반식품의 기능성표시제 지원 등 기능성 소재의 상용화 지원을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를 기업에 지원하는 사업이 아닌 주관 및 참여기관이 기술지원을 직접 수행하는 사업입니다.

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 지원사업의 기술지원 수요를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관심 있는 기업 관계자 여러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.

2023320

 

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 지원 사업단장

 

 

 

 

사업개요

 

사 업 명 : 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 지원사업

(당해년도 사업기간: 2023 01. 01 ~ 2023. 12. 31)

사업 내용

기술지원 범위 : 기능성 스크리닝, 세포/동물 효능평가, 제브라피쉬 활용 간이독성 평가, 마이크로바이옴 분석, 시제품 생산 지원, 지표성분/기능성물질 분석, 품질분석 등

지원 대상

도내 기업으로 기능성표시식품,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화장품 등 기능성소재를 활용하여 산업화하고자 하는 기업 관계자

바이오화장품 제조업, 건강기능식품 제조업, 식품용 미생물 및 효소 제조업, 식품첨가물 제조업, 발효식품제조업 및 기타 바이오식품 제조업 등

 

 

 

 

 

지원 규모

. 지원분야별 지원 규모

 

지원 분야

단위 사업

지원건수

수행기관 및

담당자(연락처)

A

기능성 스크리닝 및 세포 효능평가 지원

- 효소실험, 세포실험 등을 통한 in vitro 효능평가·검증

9

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

오현화 연구부장 (063-219-5257)

B

지표성분 분석법 정립 및 정량 분석 지원

- 건강기능식품, 기능성표시제품 등 지표성분의 분석법 확립 및 정량평가

선정마감

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

김상준 팀장

(063-711-1054)

C

동물수준 비임상 효능평가 및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지원

- 동물모델을 이용한 기능성·유효성 평가 지원

선정마감

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

김하림 연구원

(063-711-1032)

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지원

- 개발 소재, 제품의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(동물시험 연계)

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

양희종 팀장

(063-650-2035)

D

시제품 생산 지원

- 건강기능식품, 기능성 원료 GMP 생산 및 QC분석 지원

3

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

정은정 주임연구원

(063-210-6532)

E

간이독성 평가 지원

- 개발 소재, 제품의 간이독성 평가 지원(제브라피쉬)

선정마감

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

양희종 팀장

(063-650-2035)

F

시제품 품질분석 지원

- 기능성표시제품, 건강기능식품 등 품질분석 지원

1

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

정은정 주임연구원

(063-210-6532)

본 사업은 주관 및 참여기관에서 직접 기술지원을 수행하는 사업으로 기술지원 범위에 제한이 있을 수 있어 위 수행기관과 사전 협의 후 제안서 제출 요망

사업기간 내(2023년도) 일반식품의 기능성 표시를 신청하고자 하는 기업우대(별첨2 제출 시)

 

. 지원방법

단일형 : 1기업 1분야 지원 (A~F 유형에서 1개 선택)

복합형 : 1기업 최대 3개 분야 지원 (A~F 유형에서 2~3개 선택)

전문평가위원회 결과에 따라 신청한 단일형, 복합형 및 지원분야 수가 변경될 수 있음

 

 

신청 시 유의사항

당 사업은 선정된 기업 수요 기술에 대해 참여 기관에서 효능/안전성 평가, 시제품 제작 등을 직접 지원하는 사업으로 기업에 따로 사업비를 지급하지 않음

기술지원 후 총 사업기간 및 성과활용 조사기간 (사업종료 후 5년간, 2028년까지) 동안 수혜기업의 매출 및 신규 고용자료 제출 필수

기재내용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판명되면 신청이 무효 처리될 수 있음

사업계획서 및 기타서류가 미비할 경우 신청자의 책임으로 서류심사 탈락 처리될 수 있음

 

 

 

추진 절차 및 일정 계획

 

추진 절차

- 평가 사업

 

유망기술

수요조사공고

기술수요조사 접수

전문평가위원회

평가

협약체결

사업추진

최종평가

(사업단)

(신청기업사업단)

(사업단)

(사업단)

(사업단)

접수된 수요조사서의 타당성 분석 등을 기반으로 평가를 통하여 수요 목록을 선정하고, 선정된 수요를 공모하여 사업자 선정평가 등 절차 진행예정

 

 

내 용

일 정

비 고

기술 수요조사 공고

‘23. 03. 20() ~ ‘23. 04. 07()

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

지원 사업단

기술 수요조사 접수

‘23. 03. 20() ~ ‘23. 04. 07()

수요 기업 사업단

제안기술 검토 및 평가

‘23. 04. 21()

전문평가위원회

(수요기업 선정)

협약 체결

‘23. 05. 01() ~‘23. 05. 08()

사업단, 수혜기업

사업 수행(5개월)

‘23. 05. 01() ~ ‘23. 10. 31.()

사업단

결과 보고서

~‘23. 11

사업단 기업체 제공

추진 일정은 사업 추진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

 

 

 

접수 및 제출서류

 

접수 및 문의처

- 접수방법 : 이메일 또는 우편, 방문 접수

이메일 접수 시 반드시 담당자와 통화하여 접수 확인 요망

- 접수일자 : 2023.03.20.() ~ 2023.04.07.()(우편접수는 마감일 18:00 도착분에 한함)

- 접수처 : ()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, 정은정 주임연구원(ejjeong@jif.re.kr)

- 문의처 : 지원 유형별 연락처 참고

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

 

 

 

제출서류

 

구분

서식 명

원본/사본

부수

필수

서류

유망기술 수요제안서([붙임] 서식 참조)

원본 또는 사본

1

기업의 수요제안서 제출 공문

원본 또는 사본

1

사업자 등록증, 법인등기부등본

원본 또는 사본

1

재무재표(최근 2년간)

원본 또는 사본

1

중소, 벤처기업 확인증(해당 시)

원본 또는 사본

1

가산점 : 중소, 벤처기업 수요기술은 5

사본 제출 시 원본 대조필 날인

 

 

 

지원 제외 대상

 

 

ㅇ 신청하는 기술이 이미 다른 기업이 지원받은 기술과 동일하거나, 또는 신청기업에 기 지원된 과제와 유사 중복이 확인될 경우

ㅇ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 제한중인 자 또는 기업

* 참여연구원이 해당하는 경우, 해당기관자 변경 가능

ㅇ 과제책임자 또는 기업대표가 금융기관 등의 신용거래 불량인 경우

업이 최근 2년 연속 결산 재무제표상의 부채비율이 1,000% 이상 또는 유동비율 50%이하, 최근년도 기준 완전자본잠식, 감사의견이 의견거절또는 부적정인 경우

* , 사업개시일로부터 접수마감일까지 3년 미만인 기업은 적용하지 않으며, 벤처 캐피탈협회 회원사의 대출형 투자유치(CB, BW)에 의한 차입금은 부채총액에서 제외

접수마감일 현재 각 사업별 의무사항(각종 보고서 제출, 기술료/정산금/환수금 납부 등)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

지원제외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접수마감일을 기준으로 판단하며, 선정된 이후라도 해당사실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선정 취소

[붙임 1]

산업분류코드

코드

세세분류

코드

세세분류

10111

육류 도축업(가금류 제외)

10795

인삼식품 제조업

10112

가금류 도축업

10796

건강 보조용 액화식품 제조업

10121

가금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

10797

건강 기능식품 제조업

10122

육류 포장육 및 냉동육 가공업(가금류 제외)

10799

그 외 기타 식료품 제조업

10129

육류 기타 가공 및 저장 처리업(가금류 제외)

10801

배합 사료 제조업

10211

수산동물 훈제, 조리 및 유사 조제식품 제조업

10802

단미사료 및 기타 사료 제조업

10212

수산동물 건조 및 염장품 제조업

11111

탁주 및 약주 제조업

10213

수산동물 냉동품 제조업

11112

맥아 및 맥주 제조업

10219

기타 수산동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

11119

기타 발효주 제조업

10220

수산식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

11121

주정 제조업

10301

김치류 제조업

11122

소주 제조업

10302

과실 및 그 외 채소 절임식품 제조업

11129

기타 증류주 및 합성주 제조업

10309

기타 과실ㆍ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

11209

기타 비알코올 음료 제조업

10401

동물성 유지 제조업

20312

복합비료 및 기타 화학비료 제조업

10402

식물성 유지 제조업

20313

유기질 비료 및 상토 제조업

10403

식용 정제유 및 가공유 제조업

20321

화학 살균ㆍ살충제 및 농업용 약제 제조업

10501

액상 시유 및 기타 낙농제품 제조업

20322

생물 살균ㆍ살충제 및 식물보호제 제조업

10502

아이스크림 및 기타 식용 빙과류 제조업

20421

계면활성제 제조업

10611

곡물 도정업

20422

치약, 비누 및 기타 세제 제조업

10612

곡물 제분업

20423

화장품 제조업

10613

곡물 혼합 분말 및 반죽 제조업

20424

표면 광택제 및 실내 가향제 제조업

10619

기타 곡물 가공품 제조업

20491

감광 재료 및 관련 화학제품 제조업

10620

전분제품 및 당류 제조업

20492

가공 및 정제염 제조업

10711

떡류 제조업

20493

접착제 및 젤라틴 제조업

10712

빵류 제조업

20494

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업

10713

과자류 및 코코아 제품 제조업

20495

바이오 연료 및 혼합물 제조업

10720

설탕 제조업

20499

그 외 기타 분류 안된 화학제품 제조업

10730

면류, 마카로니 및 유사 식품 제조업

21101

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

10741

식초, 발효 및 화학 조미료 제조업

21102

생물학적 제제 제조업

10742

천연 및 혼합 조제 조미료 제조업

21210

완제 의약품 제조업

10743

장류 제조업

21220

한의약품 제조업

10749

기타 식품 첨가물 제조업

21230

동물용 의약품 제조업

10751

도시락류 제조업

21300

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제품 제조업

10759

기타 식사용 가공처리 조리식품 제조업

70111

물리, 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

10791

커피 가공업

70112

농림수산학 및 수의학 연구개발업

10792

차류 가공업

70113

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

10793

수프 및 균질화식품 제조업

70119

기타 자연과학 연구개발업

10794

두부 및 유사 식품 제조업

 

 

(10차 개정)

[출처 : 산업기술표준, 2017]

 
이전글 이전글 대형진공농축기 장비수요조사 2023-02-10
다음글 다음글 2023년도 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 지원사업 기술지원 2차 모집 접수기간 연장 공고 2023-04-07
▲ 위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