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원분야 | 지원 유형 | 단위 사업 | 지원건수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2021년 | 2022년 | 2023년 | |||
기술지원 | A형 | 기능성 스크리닝 및 세포 효능평가 지원 - 효소실험, 세포실험 등을 통한 in vitro 효능평가·검증 |
20건 | 20건 | 20건 |
B형 | 지표성분 분석법 정립 및 정량 분석 지원 - 건강기능식품, 기능성표시제품 등 지표성분의 분석법 확립 및 정량평가 |
2건 | 2건 | 2건 | |
C형 | 동물수준 비임상 효능평가 및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지원 - 동물모델을 이용한 기능성·유효성 평가 지원 - 개발 소재, 제품의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(동물시험 연계) |
4건 | 4건 | 4건 | |
D형 | GMP 생산 지원 - 건강기능식품, 기능성 원료 GMP 생산 및 QC분석 지원 |
5건 | 7건 | 8건 | |
E형 | 간이독성 평가 지원 - 개발 소재, 제품의 간이독성 평가 지원(제브라피쉬) |
2건 | 2건 | 2건 | |
F형 | 품질분석 지원 - 기능성표시제품, 건강기능식품 등 품질분석 지원 |
10건 | 10건 | 10건 |
지원분야 | 기술지원 | |
---|---|---|
지원유형 | A형 | 단위사업 |
기능성 스크리닝 및 세포 효능평가 지원 - 효소실험, 세포실험 등을 통한 in vitro 효능평가·검증 |
||
지원건수 | ||
- 2021년 : 20건 - 2022년 : 20건 - 2023년 : 20건 |
||
B형 | 단위사업 | |
지표성분 분석법 정립 및 정량 분석 지원 - 건강기능식품, 기능성표시제품 등 지표성분의 분석법 확립 및 정량평가 |
||
지원건수 | ||
- 2021년 : 2건 - 2022년 : 2건 - 2023년 : 2건 |
||
C형 | 단위사업 | |
동물수준 비임상 효능평가 및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지원 - 동물모델을 이용한 기능성·유효성 평가 지원 - 개발 소재, 제품의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(동물시험 연계) |
||
지원건수 | ||
- 2021년 : 4건 - 2022년 : 4건 - 2023년 : 4건 |
||
D형 | 단위사업 | |
GMP 생산 지원 - 건강기능식품, 기능성 원료 GMP 생산 및 QC분석 지원 |
||
지원건수 | ||
- 2021년 : 5건 - 2022년 : 7건 - 2023년 : 8건 |
||
E형 | 단위사업 | |
간이독성 평가 지원 - 개발 소재, 제품의 간이독성 평가 지원(제브라피쉬) |
||
지원건수 | ||
- 2021년 : 2건 - 2022년 : 2건 - 2023년 : 2건 |
||
F형 | 단위사업 | |
품질분석 지원 - 기능성표시제품, 건강기능식품 등 품질분석 지원 |
||
지원건수 | ||
- 2021년 : 10건 - 2022년 : 10건 - 2023년 : 10건 |